본문 바로가기

인간과심리4

행동주의적 학습: 고전적 조건화 행동주의적 학습: 고전적 조건화(조건형성) 행동주의적 학습은 1900년대 초기에 왓슨이 개척한 고전적 조건화와 스키너의 조작적 조건화를 큰 축으로 한다. '고전적'이라는 수식어는 더 나중에 개발된 조작적 조건화보다 일찍 제시되었다는 의미이다. 앞으로 설명을 위해 행동을 R(response)이라고 하고 그것을 유발하는 외적 자극을 S(stimulus)라고 한다. 외적 자극 중에는 자연스럽게 행동을 이끌어내는 자극이 있다. 예를 들어 떡을 보면 우리는 김칫국을 찾는다. '떡-김칫국'은 매우 자연스런 S-R 연합이다. 여기서 떡은 자연적 자극(US: unconditioned stimulus)으로 아무 노력이 없어도 김칫국 찾기라는 자연적 행동(UR: unconditioned response)을 유발한다. 그런.. 2021. 12. 15.
지각과정: 지각 조직화, 하향처리 지각과정: 지각 조직화, 하향처리 이제 감각수용기에서 수용된 정보에서 어떻게 물체의 정체, 위치, 움직임 등을 알게 되는지 살펴보자. 정보를 조직화하고 구성하는 것은 지각의 모든 과정에서 일어날 수 있다. 지각 조직화는 감각기관을 통해 들어온 감각 정보들을 더 큰 덩어리로 집단화해 자각하는 지각집단화 현상과 이렇게 집단화한 덩어리 중에서 한 부분을 물체로 보고 나머지는 배경으로 보는 전경-배경 분리 현상에서 잘 드러난다. 1. 자각 집단화와 전경-배경 분리 (1) 지각집단화 우리가 어떤 물체를 본다는 것은 하나의 통합된 물체를 보는 것이다. 그러나 각각의 시각 수용기 세포는 그 물체의 매우 작은 부분에만 반응한다. 따라서 같은 물체에 대해 반응한 많은 수용기 세포들의 활동을 하나로 묶는 과정이 있어야 하.. 2021. 12. 14.
신경세포의 구조와 작동원리 신경세포의 구조와 작동 원리 인간의 행동을 설명할 때 빼놓을 수 없는 것 하나가 행동의 근거가 되는 심리정 좌정의 상당 부분이 뇌에서 일어난다는 점이다. 따라서 뇌의 구조와 작동방식은 어떠하며 그것은 인간 행동의 어떤 부분과 관련되어 있는지에 대한 문제는 심리학의 주요한 문제 중 하나가 된다. 뇌 손상 환자들의 사례는 심리적 기능들이 뇌의 특정 부뉘에 국제화되어 있다는 가설이 사실일 가능성이 많다는 것을 보여 주었다. 브로카는 좌측 뇌의 한 부분이 표현성 실어증 관련 부위임을 발견하였고 베르니케는 말의 이해를 담당하는 언어 영역을 발견하였다. 또 스페리, 가자니가 등은 뇌의 좌반구와 우반구가 서로 다른 기느을 한다는 반구화 현상을 연구하였다. 그러나 국재화 가설에 반대하는 학자들은 뇌는 상당히 융통성이 .. 2021. 12. 12.
심리학이란 무엇인가? (2) 1.3 현대 심리학의 연구방법 사람의 행동과 마음현상이 작용하는 법칙을 탐구하는 과학으로서 심리학은 여느 과학과 마찬가지로 현상을 관찰하고 현상을 설명할 수 있는 이론을 구성한다. 그리고 이 이론에서 연구가설을 도출하고 자료를 모아 연구 가설의 타당성을 점검한다. 그러나 자연 현상을 다루는 자연과학과 달리 심리학의 탐구대상은 사람이기 때문에 주의해야 할 요인들이 있다. 이를 유명한 "영리한 한스"라는 말의 사례를 들어 살펴보겠다. 20세기 초 독일에서는 사람의 말을 알아듣고 수학, 역사 과목의 문제를 풀 줄 안다는 말이 등장하여 등장하여 큰화제를 모았다. 말 주인인 오스텐은 오랫동안 말을 사육하면서 말이 매우 영특하다고 여겨 왔다. 그는 말도 사람처럼 적절한 훈련을 받으면 고도의 지적능력을 수행할 수 있.. 2021. 12.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