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리2 행동주의적 학습: 조작적 조건화 행동주의적 학습: 조작적 조건화(조건형성) 1. 고전적 조건화와의 차이 앞서 고전적 조건화에서 학습이 되는 연합(association)을 S0R로 표시할 수 있다면 조작적 조건화에서의 학습은 S-R-O라는 연합니다. 여기서 O는 'outcome(결과, 효과)'의 약자이다. 즉 유기체가 주어진 환경 S에서 "O"라는 결과를 얻기 위해 능동적으로 환경에 R이라는 작업("조작"이라고도 함)을 하는 경향을 갖는 것이 학습인 것이다. 고전적 조건화에서는 조건자극(CS)이 있는 가운데 자연적 자극(US)과 그에 따른 자연적 행동(UR)이 발생할 때만 '조건자극-조건행동'이 되는 수동적인 학습이었다. 따라서 여기에만 의존한다면 유기체가 학습할 수 있는 범위는 너무 좁다. 조작적 조건화는 유기체가 환경에 능동적으로 작.. 2021. 12. 15. 행동주의적 학습: 고전적 조건화 행동주의적 학습: 고전적 조건화(조건형성) 행동주의적 학습은 1900년대 초기에 왓슨이 개척한 고전적 조건화와 스키너의 조작적 조건화를 큰 축으로 한다. '고전적'이라는 수식어는 더 나중에 개발된 조작적 조건화보다 일찍 제시되었다는 의미이다. 앞으로 설명을 위해 행동을 R(response)이라고 하고 그것을 유발하는 외적 자극을 S(stimulus)라고 한다. 외적 자극 중에는 자연스럽게 행동을 이끌어내는 자극이 있다. 예를 들어 떡을 보면 우리는 김칫국을 찾는다. '떡-김칫국'은 매우 자연스런 S-R 연합이다. 여기서 떡은 자연적 자극(US: unconditioned stimulus)으로 아무 노력이 없어도 김칫국 찾기라는 자연적 행동(UR: unconditioned response)을 유발한다. 그런.. 2021. 12. 15. 이전 1 다음